전기영상법
▶ 전기영상법이란?
- 전하가 1개만 존재하여 쿨롱의 힘을 직접 구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.
◇ 쿨롱의 법칙 :
- 임의의 가상전하를 놓고 해석
- 가상전하(영상전하)는 실제전하와 극성이 항상 반대임.
▶ 전기 영상법 6가지
1. 무한평면(=대지=기준) 과 과 점전하

1) 점전하 Q[C]에 대한 영상전하 -Q[C]이다.
영상전하수 =
2) 작용력(흡인력)
3) 무한평면 임의점전위
4)
5) 원점에서 전하밀도 = 최대유기 전하밀도
2. 직교도체 평면과 점전하
- 직교도체(
3. 접지구 도체와 점전하
- 접지된 구도체와 점전하간에 작용하는 힘은 항상 흡인력이 작용된다.
- 반지름 a[m]인 접지구 도체와 점전하 사이에 영상전하 1개
표피효과두께(
- f=주파수 /
- f,
- f,
4. 구도체가 부착된 무한평면과 점전하
- 구도체가 부착된 무한평면과 점전하 사이에 영상전하수 3개
5. 유전체구와 점전하
- 유전율
6. 구형기포
전계 세기 :
분극 세기 :
전속 밀도 :
전류에 관련된 제현상
1. 전류와 전류밀도
1) 전류란?
- 공간적 개념 없이 점(0차원), 선(1차원)을 통해 전하가 흐른다는 시간 위주의 개념.
- 단위시간에 이동도히는 전기량
- 전류 :
- 전기량 :
- 자유전자수 :
-
2) 전류 밀도란?
- 2차원, 3차원 공간을 통해 전하가 흐르는 개념.
- 전류밀도 J : 단위 시간 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순 전하 흐름.
- 전류밀도 : $i=i_{c}+i_{d}=KE+\frac{ \partial D}{ \partial t}[A/m^{2}]$
- 전도 전류 :
- 도체 내에 흐르는 전류
- 자유전자 이동에 의한 전류
- 옴법칙 미분형 : 자유전자수
- 변위 전류 :
- 도체 외에 흐르는 전류
- 구속전자 변위에 의한 전류
- 전속밀도의 시간적인 변화에 의한 전류
2. 옴의 법칙

3. 키르히호프 법칙
1) 키르히호프 제 1법칙 (전류법칙)
- 연속성이다.
- 마디 전압을 구하는 식이다.
- 마디 중심에 들어가는 전류는 밖으로 나가는 전류와 서로 같다.
- 전류가 흐르는 분기점에서의 전류의 합은 0이다.
- 도선망(회로)안에서 전류의 대수적 합은 0이다.
2) 키르히호프 제 2법칙 (전압법칙)
- 폐회로 전류(망전류)를 구하는 식이다.
-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합은 전압강하의 힘과 서로 같다.
- 폐회로의 루프안 전압의 합은 0이다.
- 폐회로에 인가된 전원의 합과 분배된 전위의 차의 합은 그 루프 안에서 등가한다.
- 하나의 루프 안에서 도체에 인가된 전압의 대수의 합과 공급된 전압의 합은 같다.
4. 중첩의 원리
- 고정적인 전압/전류원이 둘 이상일 경우 하나만 남겨놨다고 가정하였을 때, 각 지점에서의 전압/전류의 값들의 총 합은 원래의 회로의 전압/전류의 값이 된다.
- 전압원 계산 시 전류원은 Open(개방) 상태로 보고 계산한다.
- 전류원 계산 시 전압원은 Short(단락) 상태로 보고 계산한다.
5. 상반(가역) 정리
- 단일 전원에서 적용되는 정리.
- 어떤 회로의 임의의 분기점 P에 기전력 E를 인가하였을 때 다른 분기점 Q에 흐르는 전류가
6. 등가 전원 정리
1) 테브난 정리
- 2개의 독립된 회로망을 접속하였을 때의 전압, 전류, 임피던스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리
- 임의의 선형 2단자 회로망은 테브난 전압원
- 부하저항과 연결된 복잡한 회로가 있을 때, 부하저항을 제외한 나머지 회로를 하나의 전압원과 저항으로 바꾸는 기술.
-
-
2) 노튼의 정리
- 임의의 선형 2단자 회로망을 노턴의 등가전류원
- 부하저항을 없애고, 그 자리를 단락시킨다. 이 단락된 곳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면 그 전류가 노턴의 등가전류인
- 부하저항
3) 밀만의 정리
- 내부저항을 갖는 여러개의 전압원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 하나의 전압원 혹은 등가 전류원으로 바꾸거나 임의의 두 점 사이의 전압을 구하는데 유용한 정리.
예제문제
Q. 평면도체 표면에서 d[m]의 거리에 점전하 Q[C] 가 있을 때 전하를 무한 원점까지 운반하는데 필요한 일은 몇 [J]인가? 3
1.
2.
3.
4.
Q. 키르히호프 법칙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? 3
1. 폐회로의 루프안 전압의 합은 0이다.
2. 전류가 흐르는 분기점에서의 전류의 합은 0이다.
3. 고정적인 전압/전류원이 둘 이상일 경우 사용한다.
4. 폐회로에서 기전력의 합은 전압강하의 힘과 서로 같다
'2025 전기기사 > 전기자기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기자기학] 정자계 (0) | 2024.07.16 |
---|---|
[전기자기학] 자계와 전류 사이의 힘 (3) | 2024.07.14 |
[전기자기학] 유전체 (0) | 2024.07.13 |
[전기자기학] 진공중의 도체계 (1) | 2024.07.12 |
[전기자기학] 정전기 및 정전 유도 (0) | 2024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