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피던스란?(Impedance)
임피던스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.
● 임피던스의 사전적 의미 : 방해, 저지
● 특정 구조/회로 위치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비 ☞ Z = V (전압) / I (전류)
● 주파수를 가진 AC 회로에서 응용되는 저항의 개념
● 주파수와 무관하게 계속 손실로 작용하는 저항 R에 주파수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방출하는 에너지 저장성 소자인 L(인덕터) 과 C(캐패시터)의 저항 값을 모두 포함한 AC 개념에서의 저항 값



임피던스 공식
임피던스 공식은 아래와 같다.
Z = R + j X = R + j WL - j(1/WC) = R + j 2πfL - j(1/2πfC)
( j X = j WL - j(1/WC) )
임피던스 공식에는 실수부와 허수부(유도성 리액턴스와 용량성 리액턴스)가 있다.


※ 실수부란?
주파수에 무관하게 전류(RF)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서 Direct current (DC)와 Alternating Current (AC) 모두에서 발견할 수 있다.
이 세상에는 3가지 물질이 있는데 저항 성분이 작은 Copper, Silver, Gold와 저항 성분이 매우 큰 polyethylene, mica, glass 등이 있다.
※ 허수부란?
Electric (Capacitance) 그리고 Magnetic (Inductance) 에너지를 표현한 것으로써 주파수에 따라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방출하는 요소로서 에너지가 축적되고 소모되는 크기의 측정 단위라고 할 수 있다.
임피던스 공식의 이해

(1) Z(임피던스) : AC상에서의 R , L , C를 모두 포함한 AC 개념의 전체 저항
(2) R(실수부) : 주파수에 무관하게 언제나 신호의 흐름을 방해 하는 요소
(3) 유도성 리액턴스 - XL : 높은 주파수에서는 자계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낮은 주파수에서는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함.
(4) 용량성 리액턴스 - XC : 낮은 주파수에서는 전계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높은 주파수에서는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함.
'Basic > 기초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펙트럼 분석기(Spectrum Analyzer) - 1 (0) | 2022.02.07 |
---|---|
특성 임피던스(Characteristic Impedance) (0) | 2021.10.08 |
DC(직류) VS AC(교류) (0) | 2021.10.04 |
FPGA (0) | 2021.08.25 |
세계 정격 전압/주파수 규격 (0) | 2021.08.14 |